병의원 개원 체크리스트 A to Z|보건소 개설신고·요양기관 지정·실수 없는 준비법
초기 개원은 “보건소 개설신고 + 공단 요양기관 지정 + 시설·인력·보험·법정의무” 4축을 빠짐없이 끝내는 게임입니다. 이 글 하나로 끝내보아요.
*병의원 개원 준비 완벽 가이드!
보건소 개설신고, 요양기관 지정, EMR, 의료사고배상책임보험, 의료폐기물·마약류·개인정보보호, 비급여 고지, 인력·장비·인테리어, 오픈 전 리허설까지. *의사 커뮤니티 메디게이트·닥터빌 활용 팁 포함.
목차
1.개원 성공의 핵심 로드맵
2.핵심 타임라인(8~12주 가이드)
3.행정 4대 세트: 개설신고→요양기관 지정→보험→청구
4.공간·인테리어·장비 체크
5.인력·노무·세무·전산 핵심
6.법정의무·리스크 관리
7.오픈 전 48시간 파일럿(Live 리허설)
8.메디게이트·닥터빌로 실수 줄이는 팁
9.자주 묻는 질문(FAQ)
10.체크리스트
1) 개원 성공의 핵심 로드맵
•목표: 개설신고 수리, 요양기관번호 발급, 초월 청구 반송 0건.
•레버: 임대 전 보건소 사전검토 → 행정 동시진행(신고·지정·보험·EMR) → 오픈 전 전과정 리허설.
•실패 포인트: 평면·용도 부적합, 방사선 차폐 누락, 비급여 고지 미흡, 청구 세팅 오류.
2) 핵심 타임라인(8~12주)
•임대·설계·시공: 6~10주
•장비 발주·설치: 2~6주
•행정(개설신고·요양기관 지정·EDI): 2~4주
•권장 총 기간: 8~12주
→ 팁: 임대 전 보건소에 러프 평면·장비 목록 들고 적합성 확인하면 일정이 절반으로 매끈해집니다.
3) 행정 4대 세트: 개설신고→요양기관 지정→보험→청구
1.보건소 의료기관 개설신고
•준비: 면허증, 임대차계약서, 평면도(화장실·세척·의료폐기물 보관), 인력 서류, 장비 목록.방사선 장비 있으면 차폐설계·검사 포함.
2.국민건강보험공단 요양기관 지정
•요양기관번호 발급 후 청구 가능.
•HIRA 계정, DUR, 전자처방 연동 체크.
3.의료사고배상책임보험 가입
•오픈 전 의무 수준으로 맞추고 증권 보관.
4.청구·EDI 세팅
•EMR 선택: 청구 모듈, DUR, 전자처방, PACS 연동, 자동 백업 필수.
•모의 청구로 반송 리스크 사전 제거.
4) 공간·인테리어·장비 체크
•용도·층고·하중 확인.
•동선: 대기·접수·진료·처치 분리, 오염/비오염 동선, 장애인·남녀 화장실 요건.
•소방·피난·전기 증설 점검.
•의료폐기물 보관 위치, 세척·소독 공간 확보.
•장비: 기본 진료세트, 멸균기, AED, 필요 시 영상장비+PACS, 냉장 의약품 온도기록.
•방사선 장비 시: 설치·사용 신고, 차폐검사, 정기 품질관리 루틴 확정.
5) 인력·노무·세무·전산 핵심
•인력: 간호(간호사/간호조무사) 배치 기준 충족, 채혈·주사 숙련도 체크.
•노무: 근로계약, 취업규칙, 4대보험, 산업안전·보건교육.
•세무: 과세/면세 혼합(미용·시술 과세) 구분, 계좌 분리, 현금영수증·전자세금계산서.
•전산/보안: 원무망과 손님 Wi-Fi 망분리, EMR 접속기록·권한 관리, 주기 백업 리허설.
6) 법정의무·리스크 관리
•의료사고배상책임보험: 필수.
•의료폐기물: 배출자 신고, 전자인계, 위탁처리 계약.
•마약류: 취급자 지정, 통합관리시스템 등록, 금고·장부.
•개인정보보호: 접근권한 최소화, 문서파쇄, CCTV 안내문.
•비급여 고지: 표준서식으로 대기 공간 게시, 홈페이지 병행 권장.
•감염관리: 멸균·소독 SOP, 낙상·화재 등 사고 대응 매뉴얼.
7) 오픈 전 48시간 파일럿(Live 리허설)
•Observe: 상권 3곳 벤치마킹(경쟁, 유동, 임대 스펙).
•Orient: 보건소 사전 상담으로 평면·장비 적합성 확인.
•Decide: 방사선 장비 유무 확정 → 차폐설계 여부 결정.
•Act: EMR 데모, 보험 가입, 요양기관 지정 서류 접수, 모의 청구 1회.
•체크: 초진→문진→진료→수납→청구→반송 대응까지 풀 시뮬레이션 2회.
8) 메디게이트·닥터빌로 실수 줄이는 팁
•메디게이트: 개원 선배 Q&A, 인테리어/장비 견적 비교, 청구 이슈 사례 탐색.
•닥터빌: 개원 운영 노하우, 비급여 가격대 감(相場) 파악, 실무 체크리스트 공유.
•활용법: “개설신고 반려 사례”, “비급여 게시 양식”, “차폐검사 팁” 키워드로 사전 학습 → 내 케이스 체크.
9)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임대 먼저 해도 되나요?
A. 가능하지만 보건소 사전검토 후 임대가 안전합니다. 평면·용도 부적합은 일정·비용 폭탄.
Q2. EMR 고를 때 핵심 포인트는?
A. 청구안정성, DUR/전자처방, PACS 연동, 백업·보안, 사용자 교육. 데모로 모의 청구까지 확인하세요.
Q3. 비급여 고지는 어디까지?
A. 표준서식으로 명확한 항목·수가 게시. 변경 시 즉시 업데이트. 홈페이지 병행 권장.
Q4. 마약류 취급 계획 없으면?
A. 관련 의무 대부분 제외. 다만 보관·처방 가능성 있으면 초기에 시스템 준비가 편합니다.
10) 체크리스트
행정 4대 세트
□ 보건소 개설신고 서류 완비
□ 요양기관 지정 및 번호 발급
□ 의료사고배상책임보험 가입
□ EMR·DUR·전자처방·EDI 모의 청구
시설·장비
□ 용도·동선·소방·전기 확인
□ 방사선 차폐설계·검사(해당 시)
□ 멸균·소독 공간, 의료폐기물 보관
□ 냉장 의약품 온도기록 체계
인력·운영
□ 간호 인력 배치 기준 충족
□ 근로계약·4대보험·교육
□ 감염관리·사고 대응 SOP
□ 비급여 고지 게시, 개인정보보호
오픈 전 리허설
□ 초진→청구 전과정 2회 시뮬레이션
□ 반송 대응 플로우 점검
□ 예약·리마인더·리뷰 운영 시작
개원은 체크리스트 전쟁입니다.
임대 전 보건소 사전검토, 개원 직전 모의 청구, 그리고 메디게이트·닥터빌로 최신 실무 팁을 흡수하면 실수 확률이 급감합니다.